요즘 아이엠데이 서비스를 개편중입니다. 기존 블로거 필진들 참여로 운영중인 IT 뉴스 서비스를 이번에 대대적으로 개편합니다. 지금한 80% 정도 완성되어서 다음주중에는 서비스를 선보이지 않을까 싶은데, 암튼 그런저런 일들도 블로거 지인들 방문도 못하고 있네요. 너무 죄송해서 간만에 안부 인사 한번 드릴려고 합니다. 현재 저희가 작업중인 서비스는 기존에 블로거 필진들이 자신의 블로그등에 올렸던 글과 제가 해외의 IT 이슈등을 수집해 컨텐츠로 올려주는 역할에 국한되 왔습니다. 그래서 서비스 특성도 약간은 블로그틱하게 운영됬는데요. 아래와 같은 모습이었죠? 글을 기고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사실 소통이란 측면에선 많이 부족한 서비스였습니다. 이번에 개편하면서 주안점을 둔 것은 좀 더 전문 IT 뉴스 서비스..
다음 TV 플랫폼으로 승부수 띄웠는데 무모한 도전일까? 미래를 내다본 앞선 선택일까? 다음이 최근 몇년간 다음은 늘 네이버 뒤에 가려진 2인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했다. 그런데 최근 이런 상황이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기도 했다. 네이버는 현재 자중지란에 빠져있다. 이해진 의장이 사내 강연에서 발언했던 내용이 웹을 통해 소개되면서 "스타트업 입장에서 본, NHN 이해진 의장의 문제의 발언?" 네이버에 대한 비판이 극에 달해있다. 문제는 이런 내부 문제 뿐만이 아니라, 모바일 시장 늦장 대응 문제/네이버 ME의 실패/메시징 서비스 실패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그러는 사이 다음은 마이피플의 성공/네이버보다 한발 앞선 모바일 대응/다음 TV를 이용한 "스마트 TV"시장 진출등 네이버보다 한발 앞서는 모습을 ..
다음블로거 뉴스가 블로거뉴스 2.0을 통해 새로운 블로거뉴스를 선보였던 작년 가을이 생각난다. 당시 상황을 또렷하게 기억하는 어설프군으로서는 다음 블로거뉴스의 개편에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는 바이다. 당시 다음 블로거뉴스 담당자는 이런 표현을 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저희는 메타블로그가 되려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에 와서 본 다음 블로거 뉴스는 결과론적 이야기 겠지만 완전 메타블로그화 되었다. 어설프군은 다음이 메타화 되는 것을 뭐라.. 비판하고 싶지는 않다. 아무리 미디어를 지향하지만 사이트 컨셉이나 주 이용층이 블로거인 만큼 메타화가 되지 않는 다는 것 자체가 이상하니 말이다. 다만.. 처음부터 기존 메타와 다른 차별화된 메타를 이야기하고 그러한 기준들을 보여줘 왔다면 더 신뢰성있는 서비스로 ..
블로그란게 참 재미 있어요. 단순하게 누군가에게 내 생각을 전하고 댓글과 트랙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하는 기쁨도 있지만.. 다른 분들이 알아봐 주고 높게 평가해 주는 기쁨도 무시 못할 것 같습니다. 최근 정말 제대로 블로그를 운영해 보려고 맘먹고 글도 열심히 생산하며 블로깅을 즐기는데.. 오늘 또 하나의 기쁨을 선사하는 글이 제 블로그에 남겨져 있더군요. Tistory 운영자 였는데 제 글을 다음 메인에 올려준다는 이야기 였습니다. 솔직히 별로 대단한 리뷰도 아니었는데 좋게 봐주셔서 참 감사했습니다. 다음부턴 더 열심히 신중하게 포스팅 해야겠다는 생각도 같이 했고 말이지요. 아래 사진은 다음 메인에 뜬 사진이네요. 뉴스 영역은 아니라서 아주 큰 트래픽을 얻지는 못하겠지만 메인에 올라갔다는 것 만으로도 큰..
오랜만에 글을 쓰는것 같다. 그동안 지독한 감기 때문에 어설프군이 포스팅 할 수 있는 여력이 없었다. 이제서야 겨우 몸을 추스를 수 있는 상황이 되어 오랜만에 몇자 적어보려한다. 최근 기사나 뉴스를 보더라도 블로그마케팅에 대한 이슈가 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관심이 점점 고조되는 이유는 기존 미디어가 가진 아날로그적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일반 대중과 기업의 Need's가 간접적 커뮤니케이션에서 직접접 커뮤니케이션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블로그마케팅을 바라보는 상대적인 입장 차이는 존재하겠지만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이쯤에서 블로깅시대 초기의 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메타서비스를 통해 차별화 요소와 변화를 살..
정말 오랜만에 어설프군 본래의 블로깅 자세를 되찾아보며 예전에 약속했던 다음의 중국공략기를 작성해 보려 한다. 다음과 네이버, 싸이등은 현재 탈 한국의 기치를 내건체 다각도로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초석을 다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곳이 네이버와 다음이다. 네이버는 아시다 시피 미국 자회사 설립과 조직 개편으로 해외 공략을 위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며 다음역시 라이코스 인수등으로 미국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는 형국이다. 그럼 오늘은 다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다음은 현재 국내적인 상황으로 볼땐 중국 공략에 대해 당분간 힘을 쏟을 여력이 없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첫번째 이유로는.. 현재 다음은 국내 언론과 주주들의 압박을 받고 있다. 얼마전 어떤 블로거였는지는 기억..
여러분이 볼땐 이 상황이 어떻다고 생각하는가? 외형상으로 볼때나 서비스 기획과 전략적으로 볼때 상당히 치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한눈에 봐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애드클릭스를 활용한 블로거들의 다음 블로거 이용률 확대 전략 블로거 기자단을 활용한 퀄리티 높은 컨텐츠 확보와 생산 동영상 서비스들을 연계한 동영상 UCC의 활성화.. 이 서비스들 전체가 얼마전 포스팅에도 이야기 했던 매우 전략적이란 것이다. 그러나 선결 과제도 존재한다. 이런 서비스 색체를 드러낼 수 있는 사이트 기회과 브랜딩 전략이 동시에 요구되지만 다음은 이에 적절한 대응을 못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우선 사이트 첫페이지에서 이런 서비스 특색을 살피기엔 너무 네이버스럽다는 아쉬움이 있다. 좀더 다음다운 다음만의 레이아웃과 브랜..
현재 블로그 스피어는 인터넷 비즈니스 세계에선 아직까진 변방으로 치부되고 있다. 온라인 비즈니스에 있어선 아직까지 포털의 영향력이 막대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잠시 생각을 비틀어보면 이러한 생각에도 조금은 다른 시각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예를들어 미국의 디그 닷컴과 피드버너 같은 사이트들이 좋은 예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 역시 이런 모델을 찾기위해 몇몇 업체들이 움직인는걸 확인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의외로 다음이란 거대 온라인 기업이 포진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론 혹자들은 올블로그나 기타 메타 사이트들과 Web2.0기반의 개인화 플렛폼을 제공하는 몇몇 업체들을 최우선순위의 비즈니스 기업으로 생각 하겠지만 이에 대해 본 필자는 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물론 Web..
필자는 요즘 네이버와 다음등 대형 포털에 대해 부정적이란 생각을 가지게 됬다. 물론 업계를 선도하는 업체에 대한 부러운 질투일수도 있겠으나 분명 우리나라의 포털은 큰 문제를 앉고 있는건 사실인것 같다. 여러분은 우리나라의 온라인 시장이 정말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필자는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회든지 선순환이 전제가 되어야 건강한 사회라고 평가 받을 수 있는데 대형 포털이 주도하는 현재의 온라인 시장은 여러가지 면에서 정체되어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단순하게 보면 이런것이 과연 무슨 문제일까 하지만 생각해 보라 산업이 크기위해선 다양한 틈새를 만들어 내고 이 틈새를 활용하여 기업을 키워가는 소규모 업체들이 대기업과 함께 튼실이 밑밭침이 되었을때 해당 산업은 더 높은 위치..

오늘은 다음이 지향하는 UCC 비전이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많은 분들이 포스팅하고 있는 글들과 제가 직접 다음을 벤치마킹하면서 느낀점 몇가지를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그럼 우선 현재 상황을 살펴 보죠! 아래 내용으로도 알 수 있겠지만 모든 면에서 다음은 네이버를 뒤쫒는 형국입니다.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죠... 기껏해야 신지식인 블로그등 네이버가 기존에 앞서갔던 서비스를 벤치마킹해 적용하는것이 다음이 현재까지 해왔던 일입니다. > 네이버 트래픽 및 매출추이 > 포털 페이지뷰 추이 이런 상황에서 분명 다음은 새로운 성장 동력원이 필요했을 것입니다. 차별화 되고 좀더 미래 지향적인 성장 동력원이 말이죠.. 그리고 이러한 성장 동력..
- -`๏’- SILKLOAD @ PAPAM -`๏’- …
- 세팍타크로 라이프
- 세피아의 자동차 연구소
- 담덕이의 탐방일지
- 1. 오늘의 이름만 얼리
- PhiloMedia
- GOODgle Blog
- 베를린로그
- 김범준 블로그
- 인터넷과 게임만 해도 경제가 돌아가는 세상
- 디자인과 플레이 번역소
- 우승이의 블로그를 위한 댓글
- HelloWorld
- kth 개발자 블로그
- BAHNsville
- Memories Reloaded
- Comments for LiFiDeA Blog
- Startup's best friend - 지미림's …
- 균, 아는대로 지껄이다.
- 디지털 세계 모험기
- Hood Rabbit의 맥(Mac) 갤러리
-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 윤의 전략 창고
- 세균무기
- 블로그리브
- 狼とdaznyang
- sentimentalist
- 영지버섯의 바람직한 기업이야기기
- 모바일을 바라보는 눈
- 공유하면 용량이 늘어납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cop…
- Company@J_IT
- SenseCh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