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컴즈가 네이트의 검색 부분을 다음에 이관하겠다는 발표를 내놓았다. 이는 마치 야후가 경쟁력 없는 검색 서비스를 유지하기 보다는 MS에 10년간 검색 엔진 사용 협약을 맺어 야후의 검색 조직을 MS에 빌려주기로 한 사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2013년 12월 Cnet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발간한 보고서를 근거로 전한 기사에 따르면 2013년 3분기 야후의 검색 매출에서 MS 빙이 차지하는 비중이 31%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다. 즉, 야후가 MS의 빙을 통해 벌어들이는 전체 수익 비중이 30%대라고 소개한 것인데, 야후가 이전에 발표한 자료에는 전체 수익의 10% 이상이라고 전한 것을 생각하면 꽤 큰 금액이라고 할 수 있다. 중한 포인트는 야후가 자체적으로 검색 엔진을 유지해..
싸이월드 창업자 이동형씨가 말하는 창업 철학 광파리님 블로그에서 싸이월드 창업자 이동형씨 인터뷰와 관련한 기사 "이동형 대표 페이스북도 모바일 승자 장담 못한다"를 봤습니다. 기사 내용을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니고 싸이월드와 미니홈피가 과연 네이버에 인수됬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에서 해당 글을 써볼려고 합니다. 이 기사를 읽으면서 아쉬웠던 부분은 싸이월드 창업이 이동형씨에 대한 업적이 중점적으로 소개되지만 위키등을 뒤져보고 또 당시 들렸던 이야기들을 종합해 보면 이동형씨는 결국 다른 사람이 먼저 이뤄놓은 결과물에 운좋게 참여해 끝이 좋았던 분이라고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그가 일한 내용이나 업적을 무시하자는건 아니지만, 그분이 대표가 되고 잘했던건 싸이월드를 SK 컴즈에 인수했고 수익 모델을 만들었던 ..
이용자 5억명의 지구촌 서비스 페이스북의 서울 아시아 헤드쿼터 지정 사실일까? 오늘 광파리님 글을 읽다가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위키피디아에서 페이스북을 찾아 보면 헤드쿼터가 3곳이 적혀 있는데 (링크) 본사가 있는 실리콘밸리 팔로알토 외에 아일랜드 수도 더블린, 그리고 대한민국 서울이 헤드쿼터로 지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광파리님 말로는 더블린이 페이스북을 가장 먼저 해외에 런칭한 곳이랍니다. 그리고 실리콘밸리 팔로알토는 아시는대로 본사가 있는 곳이니 당연한 것이겠지만 한국이 여기에 포함되 있다는게 참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습니다. 현재 한국에는 페이스북 직원이 1명 존재하고 업무의 대부분도 시장조사만 하는 것에 중심을 두고 있다고 하는 것 같습니다. 광파리님은 이에 대해 확대해석을 금하기 ..
페이스북이 생각해낸 돈벌이가 싸이월드와 같은 도토리 방식.. 이미 많은 분들이 페이스북 크레딧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저 또한 소셜 서비스를 사업 아이템으로 기획하는 사람으로 이와 관련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오늘은 자신들이 구축한 플랫폼에서 영악하게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페이스북 크레딧 서비스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 페이스북의 최대 경쟁상대는 아마존? - 이베이와 페이스북, 아마존 가상화폐 전쟁이 시작되다 - 페이스북의 정책 변화와 새로운 수익 모델들.. 페이스북이 말하는 '크레딧' 서비스는 무었인가? 크레딧 서비스는 일종의 결제대행 서비스 또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정도로 정의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 2007년 12월경 처음으로 언급된 이 가상화폐는 2008~209..
일본이 한국보다 나은것은 규모의 경제, 한국보다 성공 가능성 높은 시장 경쟁체제? 한국의 트위터 사용자 수는 현재 얼마일까? 오이코랩의 자료에 따르면 곧 50만명이 넘어 간다고한다. 엄밀히 말하면 아직은 41만 6667명이지만, 최근 2달사이에 2배이상 증가한 수치라고 하니 뒤늦은 트위터 열풍이 새삼 놀랍게 다가온다. 한국의 트위터 열풍은 지도층의 참여 때문!! 한국은 스타 (김연아, 박용만회장, 박중훈.. 등)이자 유명인인 오피니언 리더들의 역할이 트위터 열풍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처음 태생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기 까지의 과정이 드라마틱하다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네이버처럼 강력한 마케팅 지원이나 금전적 지원 없이 순수하게 자체적으로 성장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물..
필자는 요즘 네이버와 다음등 대형 포털에 대해 부정적이란 생각을 가지게 됬다. 물론 업계를 선도하는 업체에 대한 부러운 질투일수도 있겠으나 분명 우리나라의 포털은 큰 문제를 앉고 있는건 사실인것 같다. 여러분은 우리나라의 온라인 시장이 정말 올바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필자는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사회든지 선순환이 전제가 되어야 건강한 사회라고 평가 받을 수 있는데 대형 포털이 주도하는 현재의 온라인 시장은 여러가지 면에서 정체되어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단순하게 보면 이런것이 과연 무슨 문제일까 하지만 생각해 보라 산업이 크기위해선 다양한 틈새를 만들어 내고 이 틈새를 활용하여 기업을 키워가는 소규모 업체들이 대기업과 함께 튼실이 밑밭침이 되었을때 해당 산업은 더 높은 위치..

싸이월드 + SK Communications의 관계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솔직히 그동안은 SK의 자금력과 마케팅 능력이 싸이월드를 확장 시켰고 이로인해 궁극적으론 SK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nate.com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가 증가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SK의 전략가운데에는 nate.com이 핵심 중심축으로 다양한 온라인 어플리케이션이 상호 보완적 관계를 구축하여 시너지를 만들어 온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네이트닷컴의 발전 한계성이 있음에도 돈을 처발라서 다양한 온라인 교란하며 포털 순위를 꾸준히 상승시켜왔다. 하다못해 풀빵닷컴 같은 사이트까지도 그들의 먹이감이되는 상황이니 자본력을 앞세운 자본 만능주의의 결실이 현재 온라인 포털 3위라고 한다면 그리 만족스러운 결과는 아닐 것이라 판..
- -`๏’- SILKLOAD @ PAPAM -`๏’- …
- 세팍타크로 라이프
- 세피아의 자동차 연구소
- 담덕이의 탐방일지
- 1. 오늘의 이름만 얼리
- PhiloMedia
- GOODgle Blog
- 베를린로그
- 김범준 블로그
- 인터넷과 게임만 해도 경제가 돌아가는 세상
- 디자인과 플레이 번역소
- 우승이의 블로그를 위한 댓글
- HelloWorld
- kth 개발자 블로그
- BAHNsville
- Memories Reloaded
- Comments for LiFiDeA Blog
- Startup's best friend - 지미림's …
- 균, 아는대로 지껄이다.
- 디지털 세계 모험기
- Hood Rabbit의 맥(Mac) 갤러리
-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 윤의 전략 창고
- 세균무기
- 블로그리브
- 狼とdaznyang
- sentimentalist
- 영지버섯의 바람직한 기업이야기기
- 모바일을 바라보는 눈
- 공유하면 용량이 늘어납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 'cop…
- Company@J_IT
- SenseCh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