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원들이 선택한 아이폰과 기업의 선택

트위터에 재미있는 이야기가 떴네요. 가정용 세제를 만드는 회사인 Clorox에서 직원들이 사용하는 블랙베리 회수후 직원들에게 스마트폰을 스스로 선택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는데 놀랍게도 2천명중 92%가 아이폰을 선택했다고합니다.

일단, 기업이 직원 스스로에게 선택권을 준것도 놀랍지만 세제 만드는 회사가 스마트폰을 이렇게 많이 보급해 사용하도록 한 것도 놀라운 사실이었습니다.

오늘은 이 이야기를 잠시 해볼까합니다.




Clorox 1913년에 다섯명의 캘리포니아 사업가가 100달러씩 투자해 만든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초기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해 있었으며 엔지니어인 클로록스에 제안에 따라 표백제를 만들었는데 표백제에 들어가는 주 성분인 "Chlorine"과 "Sodium-hydroxide"가 들어간 제품이었습니다.

이 제품명이 바로 Clorox 였는데 이를 상표화하면서 세계적인 회사로 성장하게 되었고 현재 연간 40억달러의 수입과 110개국에 물건을 팔고 있는 글로벌 회사가 되었답니다.

제가 정확히 아는지는 모르겠는데 한국에는 유한양행을 통해 유한락스가 출시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Clorox라고 하는 것 같더군요. ㅡㅡ;;


해당 글의 요체는 Clorox의 스마트폰 교체는 이 회사가 직원들에게 블랙베리를 제공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었는데 CIO  Ralph Loura에 의해 직원의 스마트폰을 교체하면서 생긴 이야기입니다.

아마도 블랙베리가 너무 후진적인 스마트폰이었기에 뭔가 시대적 흐름에 맞는 제품이 필요하다 판단했던 것 같은데요. 놀라운점은 스마트폰 선택을 직원에게 맞겼는데 놀라운 현상이 일어난 겁니다.


2천명중 92%가 아이폰, 6%가 안드로이드, 2%가 윈폰7 선택해 압도적으로 아이폰이 우세했고 이를 채택한 내용인데요. 현재의 시장 상황을 대변하고 있는 글 같아서 저도 관련 글을 작성하게 된 것입니다.

Clorox는 전통적으로 제조회사인데 굳이 스마트폰이 필요했냐라고 물을 수 있겠지만 이 회사는 영업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고 이미 오래전부터 모바일 오피스와 제품 생산에 대한 작업을 제외하곤 전산화, 전자화를 통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이 회사는 고객의 화장실까지 쫓아다니며 그들이 어떻게 변기를 청소하는지 관찰해 좋은 아이디어 제품을 생산했다는 일화가 있는데요. 이 일을 통해 일회용 머리 솔이 달린 브러시 '토일렛 웬드' 만들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내부적으로 혁신을 끊임 없이 시도하는 기업이란 것으로 스마트폰도 이런 혁신적 활동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CIO Ralph Loura가 이번에 다시 스마트폰을 교체하게 된 배경을 보면 이 회사는 이미 회사의 기술적 패러다임을 클라우드 체계로 전환하고 있음은 물론 클라우드 환경에서 메일과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모바일 스마트 워크를 구축해 가고 있다고 합니다.

이과정에서 2~30대의 의견을 받아들였고 여기에 그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직원들의 혁신적 생각과 아이디어를 적극 받아들여 이를 회사 내부에 많은 도전적 과제들을 풀어가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이번 일을 조직한 것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직원들은 아마도 자신들의 회사에 가장 적합한 스마트 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아이폰으로 선택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어떤 면에서는 아직 안드로이드와 윈도7은 그만한 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했다는 반증인 만큼 꽤 의미있는 글이었던 것 같습니다.


결론, 혁신하는 기업에 어울리는 브랜드는 아이폰 하지만 결국 혁신이란 것은 스스로의 문제점과 그것을 개선하고 미래의 기술이 어떤 것인지를 찾는 작업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고 아이폰은 그것을 표현 할 수 있는 대명사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어떤 분들은 몇년내에 안드로이드가 세상을 지배하고 MS 윈도폰이 아이폰을 앞설 것이라 예측하지만 (저도 80%는 그말에 동조합니다.) 하지만 가능성이 약하지만 아이폰이 시장의 50% 먹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질수도 있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 20%의 가능성은 아이폰의 의외성에서 찾고 있습니다.)

결국 어떤 혁신적 제품을 만들어 내느냐가 시장의 방향키를 결정하는 것이니깐요. 과거에도 아이폰은 비주류였지만 지금은 어떤가요. 앞으로도 비주류로 남을지 새로운 역사를 만들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지 않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