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애플의 아이폰 한방에 넉다운 된 한국 모바일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모바일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모바일의 문제점은 이미 구조적 한계와 정보통신 시장 변화에 둔감한 국내 업체의 안 일한 생각에서 출발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었보다 가까운 일본의 예를들면서 갈라파고스화 되어가는 일본의 시장과 NTT 도코모등의 일본 업체를 비판했지만 정작 한국의 기업들은 이를 거울삼아 새로운 모바일 시대를 준비하지 못했던 것같습니다.
 
최근 2009년 7월 19일 뉴욕타임지는 "The Japanese have a name for their problem: Galapagos syndrome" 이란 기사를 통해 일본 경제를 비판 했습니다. 이 비판은 일본 전체 산업에 대한 비판이었지만 그 이면에 일본의 혁신으로 대변되던 모바일 산업에 대한 비판도 숨어있었습니다.
 



<갈라파고 스란?>
"갈라파고스 제도는 남아메리카 동태평양에 있는 에콰도르령의 10여개의 섬들을 의미합니다. 찰스 다윈의 진화론에 영향을 준 것으로 유명한, '살아 있는 자연사 박물관'이라고 표현되는 갈라파고스는 아메리카 대륙으로부터 1,000km 정도 떨어져 있는 지리적 상황으로 인해 제도 자체의 독자적인 진화를 통해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200kg이 넘는 코끼리거북을 비롯해 길이가 1.5m에 달하는 바다이구아나 등의 파충류와 작은 갈라파고스펭귄 등이 이에 속하는데 이런 인류와 다른 독자적 진화로 전혀 다른 종의 생물이 번성함을 빗대어 '갈라파고스 신드롬'이라고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
 
재미 있는 것은 뉴욕타임즈가 일본의 휴대폰 업체 기술적 문제를 비판했다기 보다는 그들의 시장과 사용자들을 비판하고 있는 부분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 휴대폰 업체는 어떻습니까? 기술적으로 뒤쳐져 있다고 판단하시나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미 1999년 휴대폰에 이메일 기능을, 2000년 카메라폰, 2001년 3G 네트워크 2002년 음악 다운로드, 2004년 전자 지불 결제, 2005년 디지털 TV등 새로운 혁신적 서비스와 기술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에 이미 수천만명이 3세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고 이것은 절대 무시 할 수 없는 경쟁력 입니다.
 

거대 일본의 우월함이 가져다 준 판단미스!!
하지만, 이렇게 갈라파고스 신드롬에 빗댈 만큼 일본의 모바일 서비스 독자적 길을 걷게 된 것은 무었 때문일까요? 그건 바로 일본의 폐쇠적이고 너무나 독자적 시장이 이런 문제를 야기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1억명이 넘는 인구와 시장을 갖춘 그들로서는 일본은 내수시장의 유지를 위해 국제 표준과는 다른 독자적 표준의 길을 걷습니다. 예전처럼 자신들이 주도하면 세계도 따라 올 것이라 생각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여기서 탄생한 것이 2세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아이모드 입니다. 분명한 것은 아이모드가 시장 활성화와 마케팅적 역할을 일부 담당 한것은 사실이지만 폐쇠성으로 인해 일본의 갈라파고스화를 가속화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당시 상황을 보면 국제적으론 새로운 모바일 시장이 태동하며 한참 새로운 것들이 개발되던 시기였지만 이미 일본은 3G 시장 개화는 물론 2001년 상용화까지 이루어 냅니다. 실로 대단한 것이었습니다. 또한, 독자적인 이모티콘과 각종 서드파티들을 통한 수직 계열화되던 산업은 한때 모든 국가의 선도적 리더로 자리매김 하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너무나 독자적 길을 걷게 된 것이 결국 지금 시점에 와서는 추락하는 일본을 대변하게된 것입니다. 일본 시장에만 맞는 핸드폰과 각종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는 해외 진출을 위해서 2배의 투자와 시장 고려가 필요하게 되어 기업에겐 부담을 가중시키고 점점 도태되게 된 것입니다.


기업 이기주의가 낳은 한국의 갈라파고스화
한국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통신사와 CP간의 나눠먹기식 담합과 나태한 서비스 마인드로 그들만의 시장을 구축해 왔습니다. 특히 이동통신사의 경우 손쉽게 컬러링, 데이터 서비스등 꾸준히 문제제기가 있었음에도 손쉽게 이윤을 창출 할 수 있었던 그들은 결국 세계의 리더로 굴림하기위해 만든 WAP 또는 WIPI로 대변되던 한국형 플랫폼에까지 자신들의 입김을 불어넣게 되고 이것이 결국은 좌충수가 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일본의 경우 시장이 커서 문제였다면 한국은 시장이 작기 때문에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고도 이통사끼로 적당한 힘겨루기와 나누어 먹기로 연명 할 수 있었던 것이 문제 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한가지 더 집어봐야 할 것은 바로 소비자 입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서 어찌 할 수 없었던 상황이기도 했지만 이통사와 거대 권력에 길들여진 우리 소비자는 현명한 소비자가 아닌 이통사와 정책 당국의 노예에 비견 될만큼 자신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했고 이것이 결국 이통사들의 나태하고 무뇌충격 경영에 일조하여 시장이 도태되는 결과를 가져온게 아닐까합니다.

그런 와중에 이미 미국과 유럽은 3G네트워크 활성화와 무선 개방 정책을 필두로 강력한 산업 드라이브를 걸게되고 여기에 구글, 애플 등으로 대변되는 온라인 IT의 선구자들은 새로운 가능성을 모바일에서 만들어가는 길을 열게 되었습니다.

특히 Web2.0의 정신인 개방, 공유, 확산에 근거한 각종 온라인 서비스와 모바일의 연동은 새로운 시대로의 비젼을 제시하고 있었지만 한국만은 폐쇠적인 모바일 환경과 기존 수익구조에 눈이먼 기업들로 인해 이런 서비스 환경 변화를 멀리서 지켜봐야하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그것이 어떻게 보면 아이폰이 가져다준 혜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현재 한국 모바일 시장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선 좀 더 디테일한 산업 구조와 상황을 살펴보는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