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카오톡 운영과 중단, 한국 서비스의 한계를 보여주는 건가?


개인적으로는 카카오톡이 언젠가 이런 서비스 사태를 한번쯤은 맞이 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중단 사유에 대한 공지가 더 이상하게 다가오는건 왜 일까요? 이와 관련해서도 트위터등에서 말이 좀 많은 것 같습니다. 관련 내용은 일단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납득이 안가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IDC에서 이정도 큰 전력 공급 중단 사태가 일어났다는 점이고 두번째는 카카오톡 자체에서 수천대 서버를 어떻게 동작 시키는지 의문이들어서 입니다. 그럼 들어가기에 앞서 카카오톡의 공지를 보시죠. 





내용 정리하면...

직접적인 원인은 서버와 연계된 전력 계통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며, 복구에 오래 걸린 이유는 원인 파악과 문제의 전원 복구에서부터 서버 재기동 까지 수천대 서버를 꼼꼼히 검사했기 때문이라는 군요. 


전력 계통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는 "보통은 시스템에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들이 되어 있어서 전원이 문제가 된 적은 없었습니다. 전원 문제는 카카오톡에 도움을 주고 계신 파트너사들과 확실히 파악하겠습니다."라는 것으로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아직 정확한 원인 파악을 못했다는 내용이고, 전력 정상화 이후 서버를 재기동 한 수준에서 일단 급한 조치를 취했다는 내용입니다. 



왜? 이런 사태가 일어났을까?

기본적으로 서버는 IDC라는 Internet Data Center의 약어로 대용량의 네트워크 회선과 전력을 공급하는 시설을 의미합니다. 일반 가정용 데이터 회선은 기껏해야 100MBPS급이고 (물론 가정까지 들오는 회선은 Giga급이겠지만요), 대량의 서버를 운영 할 정도의 방습 및 전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과 데이터 회선, 서버를 넣어 놓을 대량의 공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서버 한대가 이용하는 전력량이 상대적으로 많고, 아마 풀랙이용시 일반 가정에서 평균적으로이용하는 전력의 임계치를 몇배는 초과할 겁니다. 이런 전력과 giga단위급 인터넷 회선을 저렴하게 공급받아 IDC와 계약한 용량내에서 서버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겁니다. 


이 사태가 일어난 1차적인 책임은 이런 서버를 입주시켜 관리하는 IDC 측에서 전력 공급 문제를 발생시킨 것이고, 카카오톡 파트너사와 카카오톡의 대응이 늦었기 때문으로 분석합니다. 


IDC는 보통 한국 전력에서 전력 공급이 안될 경우를 감안해 보통 2~3중의 전력 관리 체계가 이루어집니다. 자체 비상용 발전기까지 갖춰져 있는 이유도 여기있습니다. 그런데 최소한 이런 전력 중단이 일어난 걸 보면 IDC 전체 또는 일부 센터가 이런 2~3중 체계가 정상 동작 안했다는 이야기로 엄밀히 말하면 IDC로서 존재 가치를 상실한 경우입니다. 


그리고 카카오톡의 경우도 위에 언급한 기사들을 통해 말씀드리고 있듯.. 이런 사태를 대비해 보통 서버를 다른 IDC에 입주시키거나 지역단위로 쪼개서 이중화해 주 IDC 서버가 문제 발생시 보조 IDC에 입주된 서버를 이용해 서비스를 진행해야 하지만 돈이 없어서 이런 이중화를 못했다고 합니다. 


한국 IT의 안타까운 현실인겁니다. ㅡㅡ;; 



카카오톡 서비스 중단에 대한 여론은?

여론이라고 보는 미디어들은 위에 올라온 수준의 내용들이고 전 트위터등에 올라온 내용을 좀 언급해 보려고 합니다. 





전반적으로 안타까움과 비판의 글이 많았습니다. 물론 일부 벤처 기업입장에서 이해와 양해를 구하는 분들도 분명 있었고, 사실 개인적으로 카카오톡을 지지하는 입장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비판적인 성향의 글을 쓴 것은 대처나 카카오톡의 상황보다는 대응에 방법에 좀 문제가 있어보였기 떄문입니다. 



어떤 대응방법이 문제인가?

우선 기본적으로 공지 내용을 보더라도 수천대의 서버 검사와 관리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는 이야기입니다. 수천대를 한꺼번에 컨트롤 할 준비가 부족했다는 점을 노출한 것입니다. 


그리고 그 수천대의 서비스를 KT나 하나로등에 분산배치해 2중화 할 수는 없었는가 하는 점입니다. (이게 쉽다고 말하는게 아니라 4500만 이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라면 최소한 이런 가정은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지 않냐라는 말입니다.)


단순하게 IDC에 배치해 로드밸런싱 류의 시스템으로 IDC 자체내에서만 서버 이중화를 했다면 아쉬운 일입니다. 제가 잘은 아는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이정도 서버 군이면 2중화 개념과 서비스 동시 제공 개념을 둘다 만족시킬 방법이 있었을텐데 급성장하다 보니 이런 부분까지 미처 챙기지 못한 모습입니다. 


그리고 공지의 내용도 나름 트위터등을 통해 알리고 있기는 하지만, 정확한 원인과 내용이 없이 준비중이다. 개선중이라는 의견만 내세웠다는 점입니다. 당장 그정도 수준밖에 공지를 낼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하더라도 이정도 규모를 운영하는 운영사 치고는 너무 성의 없는 대응이라는 생각입니다. 



언론의 대응도 마땅하지 않아?

미디어들이 쏟아내는 기사를 보면 돈이 없어서 이중화를 못했다느니, 한국 서비스의 한계라느니 이런류의 삼류 기사만 쓰고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팩트가 없는 것이죠. 


기자라면 최소한 관련 IDC 업계 근무자에게 코멘트라도 따서 기본적으로 예상되는 시나리오를 언급하고 대처 방법과 실제 비용등을 산출해 언론의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슈 하나에 하이에나 처럼 몰려들어 물어 뜯는꼴입니다. 


개인적으로 한국 서비스의 한계라는 지적보단 세계 모든 벤처 기업의 한계로 보는게 맞고, 돈도 못버는 기업이 한달 유지비가 수십억에 달하는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개선하려고 IDC 한곳에 집중한 부분도 어느정도 납득 가는 이유입니다. 벤처 육성한다고 엄한데 돈들이지 말고 국가 차원에서 저렴하게 IDC 라도 지원해 달라는 기사는 쓰지 못 할 망정 엉뚱한 접근을 시도하는 부분이 눈에 많이 띄네요.  


단순하게 그런 접근 보다는 이중화라고 하면 돈을 적게 들이면서도 IDC에 분산 배치해 이중화 할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고 기술적인 문제는 뭐가 있는지 꼼꼼히 살펴줘야 하는게 아닐까요?


단순하게 아마존, 페북 같은 매출 1조가 넘고 수익도 수천억 내는 기업이 자체 IDC 구축해 운영하는 형태의 비교는 그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이니 말입니다. 



LG가 제공하는 IDC가 가장 큰 원죄가 있음?

기본적으로 국가 전력 사태가 일어나 블랙 아웃이되고 최소 2~3일 버텨준뒤 이런 문제가 생겼다면 LG도 이 문제에서 일정부분 자유로울 수 있지만.. 문제는 원인도 못 밝히고 있고 이런 문제가 안정성과 지속성이 생명이어야 할 IDC에서 일어나 수시간을 먹통으로 있었다는 것 모두가 문제입니다. 


물론 ""의 의견처럼 LG로부터 카카오톡이 수억의 보상비를 받을지 모르겠지만, 앞으로 LG쪽 IDC 이용에 대한 큰 리스크를 안고 이용하게되는 상황을 만든 것이라 LG의 신뢰도도 문제지만, 그쪽에 입주한 입주사도 큰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이정도 사태면 IDC 전체를 전면 점검해야 할 큰 사건이라 봅니다. 


IDC의 경우 1초라도 전력 문제나 지연 문제가 발생하면 사실상 큰 문제로 봐야하지만 이런 부분의 지적은 적은 것 같아 아쉽습니다. 



앞으로.. 이런 사태를 안만들려면.. 

가장 좋은 방법은 분산배치이고 더 좋은 방법은 자체 IDC를 구축하는 것이고 더더 좋은 방법은 세계 유수 지역에 자체 IDC를 하나씩 배치해 3중 4중화 하는 것입니다. 


물론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한국에서  돈 잘번다는 네이버 조차 춘천에 자체 IDC 한개를 가지고 있는 수준입니다. 구글 같이 천문학적인 돈을 버는 기업도 어려운 일인데 일게 벤처가 그것도 아직 수익도 못내는 기업이 그런 일을 바라는건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 상황에서 가장 좋은 대안은 서버 일부만이라도 타 IDC에 2중화해야 할 것 같습니다. 


4500만명이 이용하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정도면 기술력과 능력을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이번 기회를 빌어 좋은 경험과 노하우 쌓았다고 생각하고 투자금도 받았으니 더 안정화에 눈을 돌려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더 나아가서 자체 IDC까지 구축하는 큰 벤처가 되길 기대하고 개인적으로 많이 안타깝네요. 이정도 서비스 중단 사태면 해외에도 알려졌을텐데, 한국 IT 수준을 의심할까봐 걱정도 됩니다. 힘내시고 더 좋은 모습 보여주시길 기대해 봅니다. 

댓글